[단편상식] 지진파의 분류, 특성(P파와 S파 비교)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한반도가 지진의 안전 지대가 아니라는 말이 뉴스에서 자주 들려 옵니다. 오늘은 지진파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학창시절에 배웠던 내용을 떠올리면서 정리해 봅니다~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지진파의 종류 지진에서 발생하는 지진파는 크게 P파와 S파 2가지로 구분됩니다. 이들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전파되고, 지진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과학자들은 P파와 S파의 도착 시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지진의 진원지를 정확히 파악하고 지진의 규모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두 파동의 특성은 지구의 내부 구조를 연구하는 데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P파와 S파 비교 지진파의 특성 P파 (Primary Waves, 압축파 또는 종파) P파는 지진파 중 가장 빠르게 이동하는 파동으로, 지진 발생 직후 가장 먼저 감지됩니다. 속도는 7~8km/s입니다. 이 파동은 압축파(Compressional wave)로서 음파와 비슷한 방식으로 물질을 압축하고 팽창시키면서 전달됩니다. P파는 매질의 진동방향과 파의 진행방향이 같은 종파이기 때문에 고체, 액체, 가스 등 모든 매질을 통해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진원지를 파악하는데 사용됩니다. S파 (Secondary Waves, 전단파 또는 횡파) S파는 P파보다 느리게 이동하는 지진파입니다. 속도는 3~4km/s입니다. 전단파(Shear wave)로서 매질 내의 입자를 수직 방향으로 진동시키면서 전달됩니다. 따라서 P파에 비해 속도가 느립니다. 이로 인해 지표면이 위아래로 흔들립니다. S파는 고체를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액체나 가스를 통과하지 못합니다. S파는 P파에 이어 지진 감지기에 도달하며, 지진의 크기나 파괴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매질(媒質, transmission medium)이란 어떤 파동 또는 물리적 작용을 한 곳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