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서 죽음을 맞이한 우주비행사들

우주는 매우 척박한 환경입니다. 우주에는 공기가 없고 온도도 약 260℃에서 최저-100℃까지 변화가 심합니다. 또한 언제나 충돌의 위험이 있죠. 일반적으로 천체의 공전 속도가 28,000km/h 에 달하기 때문에 작은 금속 조각일지라도 부딪히면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갑자기 압력이 떨어진다거나 혹은 산소 공급이 잘못되면 더 큰 위험이 발생합니다. 만약 화재가 발생하면 밖으로 도망치거나 창문을 열 수도 없습니다. 이러한 많은 위험에도 불구하고 우주에서 죽음을 맞이한 사람들은 소수에 불과합니다. 대부분의 사고는 우주선이 발사되거나 지구로 재진입하던 중에 발생했습니다. 이 중에서도 1986년 1월 28일 발생했던 우주 왕복선 챌린저 호 사고가 아마도 가장 비극적인 사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챌린저호에 탑승한 우주비행사들 우주왕복선 챌린저 호 사고 당시 부스터 로켓의 연료가 새면서 주연료 탱크가 파열되었고 결국 우주 왕복선 본체가 발사 73초 만에 부서지게 되었습니다. 이 같은 참극은 불과 15km 상공에서 발생했습니다. 당시 사고 보고서를 보면, 비행사 조종실이 초기 폭발에서 부서지지 않았습니다. 조종실은 불덩어리가 되어 밖으로 튕겨져 나갔고, 탄도 궤도를 그리며 약 20km 상공까지 올라갔다가 바다에 떨어졌습니다. 비행 조종사들은 폭발에서는 살아남았지만 수면과 충돌하면서 목숨을 잃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잔해가 너무 엉망이 되어서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지만 몇몇 비행사들은 자유낙하 중에 여전히 의식이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은 우주가 아니라 해수면에서 죽음을 맞이한 것입니다. 우주왕복선 콜럼비아 호 사고 NASA는 2003년 2월 1일에 두 번째로 우주 왕복선을 잃었습니다. 당시 지구로 재진입 중이던 콜럼비아호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는데요. 이번에도 참극은 우주가 아니라 지구의 대기에서 발생했습니다. 이 왕복선의 경우 뜨거운 공기가 비행기의 날개 앞 가장자리의 구멍에 들어가면서 균열이 생겼습니다. 이번에는 빠르게 선실 내의 기압을 줄임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