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유교적 개혁정치

[인물] 유교적 개혁정치, 조광조

Image
 조광조(1482년~1519년)는 조선 전기 중종 때 문신으로, 유교적 개혁 정치를 실천하다 처형당했습니다. 조광조는 김굉필의 제자고, 김굉필은 김종직의 제자였는데 연산군의 무오사화 당시 유배 중이었습니다. 용감하게도 조광조는 유배 중인 김굉필을 찾아가서 사사[스승으로 삼아 가르침을 받음]받았습니다.  조광조(趙光祖)의 자는 효직(孝直)이고, 스스로 호를 정암(靜菴)이라 하였습니다. 그는 김굉필의 제자로서 조선 성리학의 정통을 이었으며, 중종반정 이후 연산군 때의 잘못된 정치를 바로잡고 유교적 이상 정치를 실현할 적임자로 사림 세력에 의해 추대되었습니다. 중종 10년(1515) 과거 급제 이후 중종에 의해 개혁 정치 추진의 중심인물로 발탁되었습니다. 짧은 기간 동안 승진을 거듭하면서 개혁 정책의 추진을 주도하게 됩니다. 개혁정치를 펼친 조광조  하지만 사림 세력의 급진적인 개혁 추진은 국왕과 공신 세력의 반발을 사게 되었고, 중종 14년(1519)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조광조는 유배되었다가 죽음을 당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이후 조선의 정치는 몇 차례 우여곡절을 겪은 뒤에 결국 사림 세력이 주도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조광조는 성리학적 이념에 충실한 개혁정치가이자 조선 도학의 정통으로 추숭되었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인종 원년(1545)에 관작(官爵)이 회복되었습니다. 중종의 눈에 들다  조광조는 과거에 합격한 후 조정에 들어가자마자 여론을 주도하면서 중종의 눈에 들었습니다. 학문적 탁월함, 정치적 이상의 선명성 그리고 자신의 의견을 명확히 표현하며 여론을 주도할 수 있는 정치력까지 지녔습니다. 당시 중종은 연산군이 쫓겨난 후 사실상 반강제로 국왕이 됐기 때문에 여러 공신 세력에게 위축된 상황이었습니다. 중종은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파를 적극 등용해 왕권을 강화하려 했고, 조광조 역시 중종을 통해 유교적 이상 사회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조광조 묘소 조광조가 꿈꾸었던 개혁정치  조광조의 노력을 보통 '도학 정치'라고 부르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