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적전계

[36계] 순수견양(順手牽羊), 손에 잡히는 대로 양을 끌고 가다

Image
적전계(敵戰計), 제12계, 순수견양  36계중 제12계에 해당하는 전략으로 원래는 기회를 틈타 남의 양을 훔쳐 끌고 간다는 뜻입니다. 적전계에 속하는 전략으로 아군과 적의 세력이 대등한 경우에 사용하는 계책 가운데 하나입니다. 적이 드러낸 허점이 아주 작은 것일지라도 반드시 이용하고 작은 이익이라도 얻으며 승리하는 전략입니다. 아군에게 유리한 점은 아무리 작은 것일지라도 반드시 때를 놓치지 않고 쟁취하여야 합니다. 순수견양의 유래 첫번째 일화, 사석의 전략  4세기 때 전진(前秦)의 황제 부견은 동진(東晉)을 정복하기 위하여 90만 대군을 징집하였습니다. 부견은 동생인 부융을 선봉대로 보내 수양을 점령하였습니다. 부융은 동진의 병력이 적고 군량도 부족한 사실을 파악하고 부견에게 빨리 공격할 것을 건의하였습니다.  부견은 90만 대군이 모두 집결하기를 기다리지 않고 수천명의 기병만 이끌고 수양에 도착하였습니다. 동진의 장군 사석은 전진의 대군이 모이지 않은 틈을 타서 적의 선봉을 공격하여 격퇴하였습니다. 이후 동진과 전진은 비수를 사이에 두고 대치하게 되었습니다.  사석은 속전속결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교만한 부견을 자극하였습니다. 물을 사이에 두고 싸우기 불편하니 조금만 병력을 후퇴시키면 물을 건너가 싸우겠다고 전하였습니다. 부견은 동진의 군대가 물을 건널 때 기습할 요량으로 군대를 후퇴시켰습니다. 순수견양, 적이 드러낸 작은 허점을 이용하여 이익을 얻으며 승리하는 전략  그런데 그 이유를 모르는 전진의 병사들은 동진에 패하여 후퇴하는 줄로만 알았습니다. 서로 먼저 도망치려다 그만 아수라장이 되었습니다. 동진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비수를 건너 공격하였고 부견은 전투 중에 화살을 맞아 부상을 입고 겨우 10만 병사만 이끌고 장안으로 돌아갔습니다.  이 전투를 비수전투라고 하는데 이때 동진이 사용한 병법이 순수견양의 예로 볼 수 있습니다. 고대 전쟁사에서 열세의 병력으로 강대한 적을 상대하여 승리한 전례의 하나로 꼽힙니다. 두번째 일화, 최저의 복수

[36계] 이대도강(李代桃僵), 오얏나무가 복숭아나무를 대신하다

Image
적전계(敵戰計), 제11계, 이대도강  오얏나무(자두나무)가 복숭아나무를 대신하여 넘어진다는 뜻으로 작은 손해를 보는 대신 큰 승리를 거두는 전략입니다. 36계 가운데 11번째 계책으로 적전계에 속합니다. 승리를 위해 일부의 작은 손실을 감수하고 전세의 역전을 꾀하는 전략입니다. 이대도강의 유래  이대도강이란 말은 중국 고대와 중세의 악부시를 집대성한 ‘악부시집’에 실린 ‘계명’이라는 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 시가의 내용은 우물 위에 복숭아나무가 자라고 복숭아나무 옆에 오얏나무가 자랐는데, 벌레가 복숭아나무 뿌리를 갉아먹자 오얏나무가 희생하여 복숭아나무를 구했다는 것입니다. 원래 의도는 나무들도 서로 돕고 사는데 왜 형제들끼리 서로를 해치려는가를 은유적으로 비판하기 위한 것입니다. 첫번째 일화, 손빈의 경마 전략  뛰어난 전략가 손빈이 전국시대 제나라의 장수 전기에게 의탁하여 지내고 있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전기와 손빈은 모든 일을 상의해서 처리할 정도였습니다. 어느 날 손빈은 걱정에 가득 찬 전기를 보고 그 이유를 물었습니다. 전기는 경마를 좋아하는데 자신의 말이 경마에 참가했다가 대부분 졌다고 합니다. 손빈은 그런 일은 너무 걱정말라고 하며 다음에 자기를 꼭 데리고 가달라고 했습니다.  전기는 손빈을 데리고 경마 시합을 구경하였습니다. 그 시합은 참가자들의 말을 달리는 속도에 따라 상중하 3등급으로 구분하여 동급의 말끼리 속도를 겨루게 되어 있었으며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습니다. 규칙과 상황을 파악한 손빈은 전기를 도와줄 방도를 생각해 냈습니다. 이대도강은 작은 손해를 보는 대신 큰 승리를 거두는 전략이다 (경주마, 픽사베이)  집으로 돌아온 손빈은 전기에게 다음에는 꼭 이길 것이니 마음놓고 시합을 준비하라고 말했습니다. 전기는 제나라의 위왕을 초대해 시합을 열기로 했고 앞선 시합에서 모두 우승한 제나라 왕은 그 요청에 흔쾌히 응했습니다.  드디어 시합 날이 되었고, 손빈은 전기에게 하급 말과 제왕의 상급 말과 시합하게 하여 첫판을 져주라고 말했습니다

[36계] 소리장도(笑里藏刀), 웃음 속에 칼을 감추다

Image
적전계(敵戰計), 제10계, 소리장도  웃음 속에 칼날을 숨긴다는 의미로 겉으로는 상냥하게 대하지만 속으로는 상대방을 해칠 뜻을 품고 있다는 것입니다. 36계 중 제10계이며 적전계에 속하는 전략입니다. 소리장도의 유래 첫번째 일화, 이의부의 미소  대표적인 인물이 당나라 고종 때 중서시랑을 지낸 이의부입니다. 그는 겉으로는 온화하고 공손한 태도를 보이며 다른 사람과 이야기할 때는 반드시 미소를 지으며 선량한 얼굴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마음 속은 각박하고 간사하여 음험한 계책으로 다른 사람들을 해쳤습니다. 그는 고위 관직에 오른 후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비위를 맞출 것을 요구했고 조금이라도 자신의 뜻에 반대하는 사람에게는 해를 입혔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의부의 웃음 속에는 비수가 숨겨져 있다고 말했습니다. 당나라 현종 때 간신 이임보의 고사에서 유래한 구밀복검(口蜜腹劍)과 같은 의미입니다. 제10계 - 소리장도, 웃음 속에 칼날을 숨긴다 (픽사베이) 두번째 일화, 춘추시대 정무공  춘추시대 정나라의 왕 정무공은 호나라를 정벌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러나 마땅한 방법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생각 끝에 호나라에 자신이 적의가 없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자신의 딸을 호나라 왕자에게 시집보냈습니다.  어느날 무공은 신하들에게 우리가 어떤 나라를 쳐야겠느냐고 물었습니다. 그 중 한 신하가 호나라를 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무공은 이 말을 듣고 매우 화를 내며 그를 죽여 버렸습니다. 호나라의 왕은 이 소식을 듣고서 더 이상 정무공을 의심하지 않았고 정나라를 친구의 나라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정무공은 군사력을 키워 결국에는 호나라를 침략해 멸망시켰습니다. 정무공은 상대의 신임을 얻기 위해서 딸의 행복과 충신의 목숨까지 희생했던 것입니다. 세번째 일화, 월나라 구천  월나라 구천에게는 범려라는 신하가 있었습니다. 그는 용맹한 장군이었으나 늘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어했습니다. 또한, 구천은 어려움은 함께할 수 있으나 부귀영화는 함께할 수 없는 인물이라고 생각

[36계] 격안관화(隔岸觀火), 강 건너 불을 바라보다

Image
적전계(敵戰計), 제9계, 격안관화  36계 가운데 제9계에 해당하며 적전계에 속하는 전략입니다. 강 건너편에서 불을 바라보고 있다가 적당한 시기를 기다리는 것을 말합니다. 적의 내분을 이용하여 공격 시기를 결정하는 일종의 어부지리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격안관화의 유래  삼국지에 나오는 일화를 살펴보면, 천하는 패권 다툼에 혼란스러운 시기였습니다. 당시 원소와 조조의 세력이 막강했습니다. 후한의 원소는 그의 세 아들 원담, 원희, 원상을 남겨두고 전장에서 사망했습니다.  원상은 첩인 유씨의 아들로 유씨는 원소의 생전 바랍대로 국가를 삼등분하여 가장 중요한 도시를 원상에게 다스리도록 하였습니다. 장자인 원담은 분노하여 병사를 거느리고 동생인 원상을 공격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조조가 쳐들어와 이를 물리치기 위해 서로 협력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3년 후 조조는 다시 공격을 해왔고 이들 형제는 대패하여 도망가기에 급급했습니다. 이때 조조의 신하들은 후한을 완전히 장악하자고 건의했지만 곽가는 원씨 형제들의 사이가 좋지 않음을 이용하여 잠시 철수하자고 제안하였습니다. 그러면 그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내분을 일으켜 서로 공격하게 될 것이며 그때 공격하면 모든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격안관화, 강 건너 불을 바라보다 (픽사베이)  조조는 곽가의 말에 따라 철군을 결정했습니다. 곽가의 말대로 원담과 원상은 서로 공격하기 시작했습니다. 원담은 원상의 상대가 되지 못했습니다. 그는 책략가의 말을 듣고 조조에게 항복하는 척하며 원상을 공격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조조는 원담의 계략을 간파했지만 그의 뜻대로 해주었습니다. 내분으로 군사력이 바닥을 드러낸 원상을 격파했고 원상은 원희가 있는 곳으로 숨었습니다. 그 후 원담은 조조를 공격했으나 조조의 상대가 되지 못했고 죽음을 맞았습니다.  조조와 맞설 힘이 없는 원상과 원희는 패잔병들을 이끌고 요동태수 공손강을 찾아갔습니다. 조조의 신하들은 이 기회에 공손강을 공격하자고 주장했으나 조조는 오히려 웃으며

[36계] 암도진창(暗渡陳倉), 몰래 진창으로 건너가다

Image
적전계(敵戰計), 제8계, 암도진창  몰래 진창으로 건너간다는 뜻으로 정면으로 공격할 것처럼 위장하여 적이 병력을 그쪽으로 집결시키도록 한 뒤에 방비가 허술한 후방을 공격하는 계책입니다. 고의로 자신의 동향을 노출시켜 적이 대비하도록 한 후 대체 전략으로 관리가 허술한 곳을 급습하는 것입니다. 적전계에 속하는 전략으로 제8계입니다. 암도진창의 유래  유방이 패왕이 되기 전에 항우의 지배를 받으며 한중으로 물러나 있었던 시기의 이야기입니다. 후에 유방이 항우의 지배에서 벗어나자 병사를 이끌고 사천으로 들어갔습니다. 유방의 공격을 막기 위해서 항우는 장한으로 하여금 자신을 보위하도록 하고 유방이 관중으로 돌아오는 길을 차단하였습니다.  유방은 군대를 주둔시킨 곳을 촉나라로 불렀습니다. 사면이 높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빠져나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잔도밖에 없었습니다. 유방은 장량의 건의를 받아들여 잔도에 불을 지르고 관중으로 다시 돌아갈 뜻이 없음을 밝혔습니다. 항우를 안심시킨느 한편 그의 급습을 막고자 한 것이었습니다. 암도진창, 아무도 모르게 진창으로 건너가다  이후 유방은 한신을 장군으로 임명하고 밤낮으로 병사들을 훈련시켰습니다. 출정하기 전에 한신은 병사들을 보내 불에 타버린 잔도를 다시 복구시켰습니다. 장한은 이 소식을 전해 듣고 잔도의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웠습니다. 또한 군사를 파견하여 그 길에 있는 관문을 철저히 지키게 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도 복구가 끝난 잔도에서 군대가 진격할 기미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장한은 이를 의아하게 여겨 정찰병을 보내 유방의 군영을 살피게 했습니다. 그러나 그곳에는 텅빈 장막들만 있을 뿐이었습니다. 유방이 잔도를 복구시킨 것은 속임수였던 것입니다. 장한의 경계를 느슨하게 한 후 유방은 조용히 병사를 이끌고 촉에서 나와 지름길로 향했습니다. 장한의 군사가 주둔한 뒤쪽의 진창을 급습하여 장한을 물리치고 승리하였습니다. 암도진창의 결론  암도진창은 적의 주의력을 분산시킨 후 적군이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곳을 급습한다는

[36계] 무중생유(无中生有), 아무것도 없지만 있는 것처럼 보이다

Image
적전계(敵戰計), 제7계, 무중생유  없는 것을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는 의미로 해석되는데 적을 거짓으로 속여 착각에 빠지게 하는 전략입니다. 적전계에 속하며 36계 중 제7계에 해당합니다. 거짓으로 허장성세를 과시하며 적의 판단력을 흐린 후 공격하는 전략입니다. 이 계책은 보통 쉽게 믿는 사람에게 잘 통하지만 지나치게 신중한 사람에게도 잘 통합니다. 무중생유의 유래 첫번째 일화, 허수아비로 이끈 승리  755년, 당나라 안녹산이 반란을 일으켜 옹구성이 포위를 당했을 때 이야기입니다. 당시 이 성은 장순이라는 장수가 지키고 있었습니다. 화살이 다 떨어지고 성이 함락당하기 일보 직전이었을 때, 장순은 한가지 계책을 생각해 냈습니다. 그는 부하들을 시켜 천 개의 허수아비에 군복을 입혀 병사인 것처럼 꾸몄습니다. 그런 다음 허수아비 천개를 새끼줄에 엮어 깊은 밤중에 성밖으로 떨어뜨렸습니다. 무중생유, 아무것도 없지만 있는 것처럼 보이다 (픽사베이)  이를 본 적군은 진짜 병사인 줄 알고 화살을 마구 쏘아 댔습니다. 장순은 인형에 꽂힌 수만개의 화살을 적에게 내보이며 자신의 계략을 과시했습니다. 장순은 이번에는 진짜 병사들을 성밖으로 내보냈습니다.  이전에 한번 속은 적군의 병사들은 이번에는 화살을 쓰지 않았습니다. 성 밖으로 내려간 병사들은 반란군을 급습하여 크게 무찔렀습니다. 두번째 일화, 장의의 무중생유  전국시대 장의는 그의 신복들에게 그와 함께 초나라로 갔습니다. 그러나 초왕은 그들에게 벼슬을 주지 않았고 그들은 가난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장의의 신복들은 그에게 초나라를 떠나자고 말했습니다. 이에 장의는 며칠만 시간을 주면 초왕을 만나 부를 누릴 수 있도록 해주겠다고 장담했습니다.  초왕은 만난 장의는 자신에게 관직을 주지 않는다면 초나라를 떠나게 해달라고 청하였습니다. 자신은 진나라에 가서 기회를 찾겠다고 하자 초왕은 그렇게 하라며 되도록 빨리 떠나라고 재촉했습니다.  장의는 초왕에게 가지고 싶은 진나라 물건이 없는지 물었습니다. 초왕은 냉랭하게 쳐다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