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조선의 과학기술자, 장영실
장영실(1389년~1450년 경 사망 추정)은 조선의 과학기술자입니다. 조선 세종 때 상의원 별좌로 등용되어 과학기술자로서 조선의 천문학 기술을 찬란히 꽃피웠습니다.<세종실록>에 따르면 장영실의 아버지는 원나라 유민으로 소주·항주 출신이고, 어머니는 조선 동래현 기생이었는데, 장영실의 기술력이 뛰어나 세종 임금이 특히 아꼈다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 |
장영실 표준영정 |
장영실의 능력
그는 경상도 관노 출신으로 온갖 것을 만들어내는 데 특출났고 조정에 들어와서도 사대부들의 관념적 성과를 실체화하면서 탁월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자격루라는 물시계는 장영실이 발명한 것 중 가장 유명합니다. 일정하게 흘려보낸 물의 차고 떠오름을 활용해 자동으로 시보를 알려주는 장치를 활용한 당대 최고의 발명품이지만 여전히 완벽하게 복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자격루 제작 5년 후인 1438년에는 옥루라는 또 다른 물시계를 개발했습니다. 옥루의 내부는 기계 장치인 데 반해 외관은 유교적인 이상 사회를 표현한 예술적 조형물입니다.
![]() |
자격루 |
장영실의 업적
장영실의 업적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조선 최초 천문 관측대인 간의대뿐 아니라 해시계인 앙부일구, 해와 별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일성정시의 등 각종 발명품이 그의 손을 거쳐 탄생했습니다.
이러한 성과가 가능했던 이유는 천문학과 농업을 발전시켜 조선 사회를 윤택하게 만들고 싶었던 세종과 조선 전기 정치가들의 진취적인 기풍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 조선 전기에는 중국의 과학 기술은 물론 이슬람 심지어 동로마 제국의 과학 기술까지 소개될 정도였다고 합니다.
![]() |
앙부일구 |
자격루도 송나라 때 연숙, 심괄 등이 만든 물시계를 참고했고, 시보장치는 이슬람의 기술을 따왔습니다. 해시계는 몽골이 세운 원나라의 천재 발명가 곽수경의 영향이 컸습니다. 이슬람 지역을 정벌하면서 이슬람의 높은 과학 기술이 원나라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과학 기술이 조선 전기에 활발히 유통됐고, 단순히 모방 제작하는 수준을 넘어 창의적인 형태로 만들어진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장영실 개인의 천재적 비범함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그가 활동할 수 있었던 좋은 사회적 기반이 존재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세종 시대 과학 발전에는 정인지, 정초 같은 문신 관료들의 역할이 컸습니다. 이들은 천문서인 <칠정산>을 편찬했고, 천문 관측대인 간의대 제작 등에 관여하는 등 탁월한 과학적 역량을 선보였습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