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탈레스
고대 철학의 문을 연 사람, 탈레스
기원전 6세기, 지금의 터키 서부에 해당하는 그리스 도시국가 밀레투스에서 한 인물이 당시 사람들의 상식을 뒤흔드는 놀라운 예측을 합니다. 그의 이름은 탈레스(Thales of Miletus, 기원전 620년경~546년경). 그는 철학자이자 과학자, 상인이자 천문학자였습니다.
![]() |
철학자 탈레스 |
이성을 통해 하늘을 읽다
기원전 585년 5월 28일, 탈레스는 한 가지 충격적인 주장을 내놓습니다. 개기일식이 그날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한 것입니다. 당대 사람들은 천체 현상은 신들의 뜻이며 인간이 예측할 수 없다고 여겼습니다. 하지만 탈레스는 자연 현상은 인간의 이성으로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리고 그의 말처럼 하늘이 갑자기 어두워졌습니다. 이 개기일식은 지금의 터키 지역에서 관측되었고, 사람들은 큰 공포에 휩싸였습니다. 하지만 그 공포 속에서 한 가지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신의 분노로 여겨졌던 자연 현상이 인간의 지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었습니다.
자연을 신에서 분리하다
탈레스 이전까지는 자연과 신의 세계가 명확히 분리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지진은 신의 분노, 가뭄은 신의 저주로 여겨졌지요. 하지만 탈레스는 현상의 원인을 자연 내부에서 찾고자 했습니다. 그는 세상의 근원(아르케, arche)을 ‘물’이라고 보았고, 모든 생명의 시작이자 변화의 본질이 물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이러한 관점은 단순한 과학적 추측이 아니라, 자연 현상과 신화를 구분하려는 첫 철학적 시도였습니다.
![]() |
밀레투스 유적지 전경 |
철학, ‘지혜를 사랑하는 일’
탈레스는 “자연을 이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후대에서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그가 시도한 것은 단순히 하늘을 읽는 일이 아니라 세상을 지혜롭게 이해하려는 방법의 혁신이었습니다. 실제로 ‘철학(philosophy)’이라는 단어는 ‘지혜에 대한 사랑’이라는 의미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그는 이성을 도구로 사용해 신화 중심의 세계관에서 과학적, 논리적 세계관으로 전환하는 길을 열었습니다.
여행자, 상인, 사상가로서의 삶
탈레스는 단지 학문적인 철학자가 아니었습니다. 그는 상인이자 올리브유 생산자로도 활동했으며, 상업 활동을 통해 축적한 부를 바탕으로 학문에 몰두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습니다. 그는 이집트와 근동을 여행하며 다양한 문명과 사상을 접했으며, 바빌론에서 천문학과 수학 지식을 배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여행이 훗날 개기일식을 예측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 |
밀레투스의 탈레스 |
후대 철학의 씨앗을 뿌리다
밀레투스로 돌아온 탈레스는 철학 교육에 힘썼습니다. 그는 자신의 제자였던 아낙시만드로스와 아낙시메네스를 통해 밀레투스 학파라는 초기 자연철학 전통을 세웠으며, 이는 훗날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 그리고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지는 그리스 철학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또한 그는 몇몇 왕들에게 군사적 자문 역할도 맡았으며, 페르시아 전쟁 이후 밀레투스의 독립 유지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적인 명성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죽음과 유산
탈레스는 60세 무렵, 운동 경기를 관람하던 중 세상을 떠났습니다. 평생 자연을 관찰하고 인간 이성의 힘을 믿었던 그는 고요하게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그의 죽음은 끝이 아니라 합리적 사고와 과학적 탐구의 씨앗이 된 시작이었습니다.
탈레스는 단지 고대의 한 천문학자나 상인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세상은 이해할 수 있다”는 믿음의 시작점이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과학으로 자연을 해석하고, 이성으로 진리를 추구할 수 있는 기반에는 탈레스의 첫 질문과 예측이 존재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