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천문학자, 튀코 브라헤(Tycho Brahe)
튀코 브라헤(Tycho Brahe, 1546년 12월 14일~1601년 10월 24일)는 덴마크의 천문학자입니다. 1572년,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신성을 발견하여 맨눈으로 관찰할 수 없을 때까지 14개월간 관측을 계속하여 기록을 남겼습니다. 이러한 재능이 인정되어 덴마크왕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2세의 지원을 받아 벤섬에 우라니보르 천문대, 스티에르네보르 천문대를 건설하고 방대하고 정밀한 관측기록을 남겼습니다. 프레데리크 2세가 죽은 후, 1599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돌프 2세 황실부 제국수학관에 초청되어 프라하로 이주하였습니다.
튀코 브라헤(Tycho Brahe) |
천문학자로서 그는 코페르니쿠스 체계(지동설)의 기하학적 장점과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천동설)의 철학적 장점을 결합하여 태양이 지구 둘레를 도는 동시에 다른 행성들이 태양 둘레를 돈다는 독특한 '튀코 체계'(수정된 천동설)를 주장하였고, 이 학설의 선취권 문제로 라이마루스 우르소와 싸움을 벌였습니다. 그러나 브라헤가 천동설을 옹호하기 위해 남긴 관측기록은 그가 병으로 죽은 후 제자이며 공동연구자였던 요하네스 케플러가 그의 기록을 분석하여 케플러 법칙을 발견해 내면서 지동설을 지지하는 결정적인 증거가 되었습니다.
튀코 브라헤는 1577년 나타난 혜성에 대해서도 많은 관측결과를 남겼으며, 혜성 현상이 달보다 먼 곳에서 일어났다는 사실을 증명해 냈습니다. 그 혜성관측결과와 신성의 발견은 달보다 먼 곳에서는 어떠한 변화도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당시의 천동설을 반증하는 한 증거이기도 하였습니다.
천문학자 브라헤
본국 덴마크의 부자, 귀족 중 한 사람이었던 튀코 브라헤는 의외로 과학자였습니다. 그때까지 시도된 것보다 가장 정확하게 별과 행성을 측정한 브라헤는 근대 천문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손꼽힙니다.
브라헤는 오늘날 스웨덴의 일부인 덴마크 지방 스코네에서 태어났고, 12살에 코펜하겐대학교에 입학해서 법학과 천문학을 공부했습니다. 브라헤의 인생에서 가장 유명한 사건 중 하나가 1566년 독일에서 있었습니다. 술에 취해 동급생과 결투를 벌이다가 코의 일부를 잃은 것입니다. 그 후로 평생 이 천문학자는 상처를 가리기 위해 금과 은으로 만든 인공 코를 끼고 다녀야 했습니다. 1570년에 덴마크로 돌아온 브라헤는 소작농 평민 출신의 커스텐 요겐스다터와 결혼함으로써 가족을 격노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는 모교에서 천문학 강의를 시작했으며, 그의 주요 후원자인 프레데리크 2세 국왕에게 받은 벤섬에 유럽 최초의 천문대를 세웠습니다.
![]() |
튀코 브라헤 초상화 |
별과 행성을 관측하다
브라헤는 그 후로 몇십 년 동안 별과 행성들을 자세히 관측하여 천문학에 의미 있는 기여를 했습니다. 자신이 관찰한 바를 근거로 브라헤는 행성들이 원이 아니라 타원 모양의 궤도를 따라 태양 주위를 회전한다는 정확한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국왕이 죽고 난 후 그는 새 국왕의 어머니와 간통한 혐의를 받았고 왕은 브라헤를 그의 섬에서 쫓아냈고 덴마크를 완전히 떠나게 했습니다. 브라헤는 여러 조수를 데리고 프라하로 가는 데 성공했습니다.
브라헤는 프라하에서 새로운 천문대를 세우고자 했지만 자신의 계획이 결실을 맺기 전에 54세의 나이로 갑자기 사망했습니다. 그러나 머지않아 그의 조수 중 하나인 요하네스 케플러가 브라헤의 자료를 이용해 그의 행성 운동 법칙을 만들어냈습니다.
괴짜 브라헤
소문에 의하면 브라헤는 대단히 미신적이었고 특히 토끼와 나이 든 여자를 무서워했다고 합니다. 전기에 따르면 그는 길에서 이 둘 중 하나만 봐도 곧바로 집으로 돌아갔다고 합니다.
벤섬에 있는 브라헤의 저택에는 학자와 기능공, 말코손바닥사슴, 그리고 예프라는 이름의 난쟁이가 살았습니다. 이 난쟁이가 미래를 보는 능력이 있다고 믿었던 브라헤는 제멋대로 구는 자신의 소작농들을 통제할 최고의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문을 구했다고 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