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의 대서사시, 호메로스
서사시의 아버지, 호메로스
호메로스(Homer)는 기원전 약 8세기경에 살았다고 전해지는 고대 그리스의 시인이자, 서양 문학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로 손꼽히는 사람입니다. 그는 <일리아드>와 <오디세이>라는 두 편의 장대한 서사시를 남겼으며, 이 작품들은 고대 그리스의 신화와 역사를 문학으로 승화시킨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
호메로스 |
신화와 역사의 교차점, 트로이 전쟁
호메로스의 작품은 트로이 전쟁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트로이 전쟁은 트로이의 왕자 파리스가 스파르타의 왕비 헬레네를 납치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격분한 스파르타 왕 메넬라우스는 그리스 전역의 군대를 소집해 10년 동안 트로이를 포위한 끝에 도시를 점령하게 됩니다.
이 전쟁에는 아킬레우스와 오디세우스 등 수많은 영웅들이 참전했으며, 이들의 활약은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생생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일리아드>는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해를 중심으로, 특히 아킬레우스의 분노와 비극적인 선택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전쟁의 격렬함과 인간적 고뇌가 교차하며, 신과 인간이 얽힌 서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디세이>는 트로이 전쟁이 끝난 후, 영웅 오디세우스가 고향 이타케로 돌아가기까지 겪는 10년에 걸친 모험과 시련을 다룹니다. 바다의 괴물, 요정, 신들의 간섭 속에서도 그는 아내 페넬로페와 아들 텔레마코스를 향한 그리움을 간직하며 집으로 향합니다.
![]() |
트로이 전쟁(영화 '트로이'의 한 장면) |
호메로스는 실존했을까?
호메로스의 실존 여부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문학계의 큰 논쟁거리입니다. 실제로 호메로스가 실존 인물이었는지, 아니면 구전된 이야기들을 편집·정리한 대표 이름인지, 혹은 여러 명의 작가가 공동 작업한 집단 창작물인지에 대해 학자들의 의견은 분분합니다.
또한 그가 시각장애인이었다는 전설도 오래전부터 전해져 왔으며, ‘눈먼 음유시인’이라는 이미지가 그의 상징처럼 자리잡았습니다. 하지만 그의 실존 여부와 관계없이, 그가 남긴 문학적 유산은 실로 압도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호메로스의 문학적 유산
호메로스의 작품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교육과 교양의 기본이었으며, 수천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문학·예술·철학·정치 등 수많은 분야에 영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디세이’는 오늘날에도 "긴 여정"이나 "험난한 모험"을 의미하는 단어로 쓰이며, ‘호메로스적’(Homeric)이라는 표현은 웅장하고 영웅적인 장면이나 행동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 |
오디세이 영문 번역서 표지 |
번역과 전파
호메로스의 서사시는 고대부터 라틴어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특히 영어 최초의 영향력 있는 번역본은 조지 채프먼(George Chapman)이 17세기 초에 완성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의 번역은 수백 년간 호메로스에 대한 표준 해석으로 간주되었고, 윌리엄 셰익스피어, 존 밀턴, 알렉산더 포프, 제임스 조이스 등 많은 문호들에게도 영감을 주었습니다.
끝없는 영향력
<일리아드>와 <오디세이>는 단지 전쟁과 모험을 다룬 시가 아니라, 인간 존재의 근원적 질문과 가치, 운명과 선택, 고통과 영광을 탐색한 작품입니다. 문학뿐 아니라 미술, 음악, 영화 등 수많은 예술 장르에서 이 이야기들은 끝없이 재해석되고 있으며, 인류 문화의 뿌리이자 영원한 이야기의 원형으로 남아 있습니다.
호메로스는 우리가 무엇을 믿고, 어떻게 살아가야 하며, 어떤 이야기를 통해 세상을 이해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고대의 목소리로 답하는 존재입니다. 그는 단순히 ‘과거의 작가’가 아니라, 오늘날에도 살아 숨 쉬는 영원의 서사시인입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