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뮤직 키워드] 싱어송라이터(Singer-Song Writer) / 샘플링(Sampling)

Image
싱어송라이터(Singer-Song Writer)  말 그대로 가수이자 직접 작사-작곡도 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가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포크(Folk)시대부터입니다. 1950년대 말 불붙은 포크 열기는 1960년대 초 베트남전쟁 반대운동, 흑인민권운동 같은 정치운동과 맞물리며 미국에서 폭발했습니다. 포크와 1960년대 포크록 계열에서 자작곡을 부르는 가수들이 대거 등장했습니다. 가수 이미지, ⓒPixabay  포크 뮤지션은 작곡 도구로 적합한 악기인 통기타에 능했습니다. 통기타 한 대로 자기가 만든 노래를 연주하며 부를 수 있는 포크는 이들의 작곡 욕구를 자극하기에 충분했습니다. 개인적 세계관을 담은 메시지나 시적 가사를 주로 노래하던 음악 경향도 한목했습니다. 밥 딜런, 폴 사이먼, 닐 영 등은 그 시절 대표적인 싱어송라이터들입니다. 샘플링(Sampling)  전자기술의 발달로 1980년대 중반 샘플러(Sampler)가 등장했습니다. 악기와 목소리는 물론 자연음까지 손쉽게 음원으로 만들고 재생하는 기계였습니다. 샘플러의 탄생은 미리 심어놓은 음원만 재생하는 신디사이저의 한계를 깨는 혁명이었습니다. 신디사이저 이미지, ⓒPixabay  곧이어 기타, 드럼, 베이스 같은 악기 연주를 새로 녹음하지 않고 기존 팝-클래식 음반의 연주 음원을 그대로 따서 쓰는 샘플링 기법이 등장했습니다. 미국 래퍼 퍼프 대디는 히트 팝송을 샘플링한 노래들로 폭발적 인기를 얻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사계’의 멜로디를 따온 이현우의 ‘헤어진 다음날’, ‘백조의 호수’를 샘플링한 신화의 ‘T.O.P’ 등이 있습니다. 샘플링은 표절에 대한 전통적 기준 자체를 뒤흔들만큼 큰 영향력을 끼쳤습니다.

[뮤직 키워드] 펑크(Funk) / 펑크(Punk)

Image
펑크(Funk)  흑인 특유의 체취를 뜻하는 속어 펑크(Funk)에 뿌리를 둔 말입니다. 1950년대 흑인 연주자들은 백인화된 테크닉 위주 재즈에 반발하여 가스펠과 블루스에 회귀하는 재즈를 모색했습니다. 그 음악에 대해 흑인 몸냄새가 난다는 의미로 펑키(Funky)란 속어 형용사를 붙였습니다. 명사화한 펑크는 소울과 같은 뜻으로도 쓰였습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 소울이 상업적 댄스로 퇴색하자 본래의 블랙 뮤직을 펑크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소울의 아버지’ 제임스 브라운을 ‘펑크 선구자’로 꼽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입니다. 고무공처럼 탄력있는 리듬이 특징인 펑크는 1970년대 ‘케이시 앤 더 선샤인 밴드’, ‘어스 윈드 앤 파이어’가 대중적 성공을 거두며 절정을 구가했습니다. Funk 이미지, ⓒWikimedia Commons 펑크(Punk)  너덜너덜 찢어진 옷차림, 형형색색의 기괴한 머리, 쇠사슬처럼 음울한 장신구 등의 펑크 룩(Punk Look) 스타일에서 보여지듯이 펑크는 음악 차원을 넘어 1970년대 유럽과 미국의 청년세대 문화현상이었습니다. 음악적으로 펑크 발생지가 미국인지 영국인지는 논란거리입니다. 하지만 1976년 영국에서 불붙었다는 사실에는 의견이 일치합니다. ‘섹스 피스톨스’는 우악스럽고 원시적인 사운드로 뒷골목 노동계급 청년들을 불러 모았습니다.  모든 기존 질서에 시비와 조롱을 퍼부은 펑크는 당시 영국 사회의 암울한 상황을 자해적으로 표출한 ‘부정의 음악’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야생성은 현실과 부대끼며 퇴조했고 1980년대 들어 사실상 소멸되었습니다. 런던 펑크는 1970년대 말 미국으로 건너가 인디록의 축이 되었습니다. Punk 이미지, ⓒPixabay

[뮤직 키워드] 모던 록(Modern Rock) / 브릿팝(Brit Pop)

Image
모던 록(Modern Rock)  1970년대 말 디스코 열풍에 이어 1980년대 여피들의 여가용 음악 ‘뉴 로맨틱스’가 음악시장을 점령하면서 ‘청년 반문화-저항음악’ 록은 사망선고를 받습니다. 모던록은 전통적 록 시대가 막을 내린 뒤 등장한 1980년대 이래 록음악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드럼이미지, ⓒPixabay  그런데 1960년대~70년대와 달리 이 시기 록은 팝, 포크를 비롯한 다른 장르를 넘나드는 활발한 활동을 해왔습니다. 때문에 음악적으로 모던록의 개념은 아주 포괄적입니다. 당시 빌보드 모던록 차트를 보면 전통적 의미의 록이라기보다 팝이나 포크, 테크노, 댄스에 가까운 음악들이 다양하게 등장하였습니다. 브릿팝(Brit Pop)  1990년대 영국에선 기타 중심의 록 사운드와 1960년대 영국 팝을 접목한 음악이 나타났습니다. 복고의 느낌과 친근하고 아름다운 멜로디가 특징인 이 장르를 브릿팝이라 불렀습니다.   팝음악이 1980년대 이후 힙합 테크노처럼 복잡하고 감각적인 리듬을 받아들인 것과 달리 브릿팝은 대부분 단순하고 안정된 4분의4박자를 고집하는 것도 특징입니다. 하지만 모던록 개념이 너무 광범위해서 모호하듯이, 브릿팝도 어떤 범주로 묶기 힘들만큼 다양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청중이미지, ⓒPixabay  같은 브릿팝 밴드라도 1960년대 로큰롤 스타일을 재현한 오아시스, 보다 정돈된 팝 사운드에 비틀즈 화성을 계승한 블러, 그런지 사운드에 팝 멜로디를 얹어낸 라디오헤드 등 여러 색깔을 보여줍니다.

[뮤직 키워드] 발라드(Ballad) / 블루스(Blues)

Image
발라드(Ballad)  발라드(Ballad)는 원래는 중세 유럽의 이야기 형식 민요를 일컫는 말로 출발했습니다(클래식 음악에서 시작되었다고도 합니다). 하지만 시대에 따라 조금씩 성격이 바뀌면서 18세기에는 러브 송(Love Song)을 의미하는 용어였으며, 19세기엔 영국 상류사회에서 유행하던 센티멘탈 가곡을 발라드라 부르기도 했습니다. 이후 현대 음악에서는 느린 리듬의 곡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됩니다.  발라드는 대개 조용하고 우아한 멜로디, 서정적인 가사, 보통 피아노, 현악기, 기타 등의 악기를 사용하며, 보컬의 중요성이 높은 장르입니다. 특히, 슬픈 이야기를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랑, 이별, 그리움 등의 주제를 다룹니다. 노래 이미지 ⓒ Pixabay  발라드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음악 장르 중 하나이며, 특히 한국에서는 대중음악 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장르 중 하나입니다. 한국의 발라드는 대체로 애절하고 슬픈 느낌의 곡이 많으며, 가사에 감성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어 많은 이들에게 공감과 위로를 주고 있습니다. 많은 한국 아티스트들이 발라드를 선보이면서 대중음악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미국에서도 발라드는 대중음악 장르 중 하나이며, 특히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는 발라드가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는 록, 팝, 힙합 등의 다른 장르들이 대중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발라드의 인기는 상대적으로 줄어들었습니다. 그러나 발라드는 R&B, 소울, 재즈 등의 장르와 결합되어 그 인기가 다시 상승하고 있습니다.  어떤 장르와 리듬을 골격으로 삼느냐에 따라 팝발라드, 록발라드, 힙합발라드, R&B바라드, 메탈발라드 식으로 세분화하기도 합니다. 재즈에선 발라드 원곡의 멜로디를 살리며 즉흥연주하는 것을 ‘발라드 연주’라고 부릅니다. 블루스(Blues)  말 그대로 슬픈(Blue) 음악인 블루스는 19세기 중엽 미국의 흑인들이 자신의 슬픔과 절망을 노래한 민중가요로 태어났습니다. 슬픈 이야기와 그리움,

[뮤직 키워드] 랩(Rap) / 리듬 앤 블루스(R&B)

Image
랩(Rap)  Rap은 속어로 ‘지껄이다’라는 뜻으로 말을 빠르게 말하면서 리듬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는 장르입니다. 일반적으로는 힙합과 연관이 있으며, 곡의 대부분이 반주없이 랩 가수의 보컬에 집중합니다.  1970년대 말 뉴욕 브롱스 지역의 디스코 DJ들이 시작했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에는 DJ와 MC가 함께 클럽에서 공연을 했으며, DJ는 비트를 만들고 MC는 가사를 노래하며 춤을 추었습니다. 이후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에는 힙합 문화의 대중화와 함께 Rap이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랩 이미지, Pixabay  Rap은 가사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대부분의 랩 가수들은 자신의 경험과 생각, 문화 등을 바탕으로 한 가사를 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가사는 종종 사회 문제, 정치, 인종 문제, 성차별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다룹니다. 1980년대 신보수주의로 흑인 상황이 악화되자 급진 정치적 거리문화로 확산되었습니다. 백인사회에 대한 저항과 살인, 마약, 폭력을 거침없이 담고 있습니다.  뉴욕을 중심으로 한 ‘이스트코스트(동부 연안) 랩’과 LA를 중심으로 한 ‘웨스트코스트(서부 연안) 랩’으로 나뉩니다. 이스트코스트랩은 사설을 툭툭 내뱉는 반면, 웨스스코스트랩은 이죽거리듯 늘어놓습니다.  랩하는 사람은 래퍼(Rapper)라고 부릅니다. 1990년대 일부 래퍼는 팝과 손을 잡고 대중적 기반을 넓혔습니다.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음악 장르 중 하나이며, Rap 스타들은 광고 모델, 패션 아이콘, 배우 등으로 활동하며, 전 세계적인 팬층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서태지 이후 댄스곡마다 양념처럼 간주사이에 집어넣기도 했습니다. 2000년대 정도까지 그랬던 것 같습니다. R&B(리듬 앤 블루스)  R&B는 '리듬 앤 블루스'의 약자로, 블루스와 리듬 앤 댄스(Rhythm and Dance)의 요소를 결합한 음악 장르입니다. 1940년대 말부터 1950

[단편상식] 안드로이드(Android)

Image
[원문은 이글루스에 2023-02-10 21:50:28 작성되었습니다]  안드로이드(Android)는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영 체제입니다. 구글이 주도하는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가 개발하였으며 2008년에 처음 출시되었습니다. 이후로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마트폰 운영 체제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안드로이드는 오픈 소스로 설계되었으며, 이는 개발자와 제조업체가 자신의 요구에 맞게 OS를 수정하거나 사용자맞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고유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에 설치할 수 있는 사용자 지정 ROM으로 알려진 많은 버전의 OS가 생성되었습니다.  안드로이드는 저가 스마트폰에서 하이엔드 태블릿 및 스마트워치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기반의 장치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과 같은 터치스크린 모바일 장치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안드로이드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구글 지도, 구글 드라이브,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같은 구글 서비스와의 통합입니다. 이것은 안드로이드의 장점이기도 합니다. 안드로이드는 또한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며 사용자가 여러 앱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해주며, 다양한 런처와 위젯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홈 화면에 대한 사용자 지정 옵션도 제공합니다.  게다가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방대한 앱 생태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스토어는 게임, 생산성 도구, 소셜 미디어 앱 등을 포함한 다양한 앱을 제공하여 세계에서 인기 있는 스마트폰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안드로이드는 또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스마트 TV와 같은 다른 형태의 기술에 통합되어 그 범위와 영향력을 더욱 확장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 이 포스팅은 챗GPT와의 채팅내용을 파파고로 번역하여 글 형식으로 정리한 것입니다(재미있네요^^).

[단편상식] 도시전설(Urban Legend)

Image
[원문은 이글루스에 2022-12-29 20:58:43 작성되었습니다]  도시전설(都市傳說, Urban Legend)은 근현대를 무대로 한 증명되지 않은 전설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출처가 불분명한 이야기를 뜻하는 용어로도 종종 사용됩니다.  도시전설이 완전히 허무맹랑한 이야기라고는 할 수 없지만 이것이 시간이 흐르면서 왜곡, 과장되고, 선정적으로 변형된 측면이 있습니다.  도시전설이 도시에서의 이야기만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산업화 이전의 전통전설과 대비되어 쓰일 뿐입니다. 사회학자나 민속학자들은 ‘현대전설’(Contemporary Legend)이라는 용어를 선호하기도 합니다.  보통 이런 부류의 이야기를 설명할 때는 "친구의 친구에게 일어났던 일이라는 형태로 널리 퍼지곤 합니다. 도시전설은 전자우편이나 뉴스 등으로 전파되는데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야기의 근원지를 추적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다만 처음에는 '이상한 이야기'에서 '기담', '괴담' 으로, 그리고 그럴 듯한 근거를 갖추면 '도시전설' 이 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Urban Legend’라는 말이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1968년에 인쇄물을 통해서 등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용어가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것은 1981년 유타대 영문학 교수 얀 헤럴드 버나드의 저서를 통해서입니다.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도시괴담, 도시전설, 현대민담 등으로 쓰이고 있으나 학계에서는 도시전설이 주로 쓰이고 있습니다.